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당뇨 검사 당충전
    카테고리 없음 2022. 3. 14. 19:31

     

    잘못된 일상 식습관이 당뇨병을 유발해요

    ●2030 당뇨병 환자 급증

    · 취업 · 일의 스트레스 · 단짠 유행 · 장시간 공복 후에 과식하는 습관, 최근 20~30대 당뇨병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당뇨병은 완치가 되지 않기 때문에 진단을 받는 순간부터 평생 관리해야 하는 만성질환으로 오래 앓을수록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2015~2019년 당뇨병 환자 증가율

    2015년 2019년 증가율 20대 1 9,781명 29,949명 ▲ 51.4% 30대 80,949명 105,875명 ▲ 30.8% * 국민건강보험공단

    환자 전체의 증가율이 동27.7%인 것과 비교하면, 20~30대의 증가 경향이 눈에 띄었습니다. 자신의 건강을 과신하기 쉬운 시기이지만 혈당이 높다면 철저히 관리를 시작해야 합니다.

     

     

    2030 당뇨병 관리

    ·장시간 공복상태를 유지하지 않음·식후 10분 산책하는 습관을 들임·1개 이상의 운동을 계속함·과도한 음주를 피하기·배달음식 과다의존하지 않음 20~30대에 당뇨병에 걸렸다고 좌절하지 말고 성실하게 케어를 시작하세요. 췌장 기능이 저하되기 전이라면,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인슐린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하는데, 인슐린 저항성이 커질수록 췌장에 무리가 가서 한번 떨어진 췌장 기능은 회복이 어렵습니다.

     

     

    당뇨진단검사

    당뇨병은 '혈액검사'로 측정한 혈당을 기준으로 진단합니다. 비만, 고혈압, 당뇨병 전 단계 등 당뇨병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매년 진단검사를 권장합니다.

    - 공복시 혈당검사 8시간 이상 단식 후 혈당을 측정합니다.

    - 경구 의뢰 검사, 포도당 75g을 녹인 물을 마신 후 혈당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경구 포도당 투여 전후 30분마다 측정하여 총 2~3시간 소요됩니다.검사 3일 전부터 식사에 제한을 두지 않고 8~14시간 단식 후 진행합니다.

    혈당수치에 의한 당뇨진단 기준 구분 공복 혈당식후 2시간 혈당공복 혈당장애 100~125mg/dL

    내당능 장애

    144~199mg/dL당뇨병 126mg/dL이상 200mg/dL이상

    한국건강관리협회 당뇨정밀검사

    검사항목 백혈구, 아질산염, pH, 소변단백, 요당, 케톤체, A/G비율, 유로빌리노겐, 빌리루빈, 요잠혈, 소변비중, 요침사(적혈구), 요침사(백혈구), 요침사(CAST), 요침사(기타), 요침사(Bacteria), 요침사(Epithel)

    갈증이많아졌다. -오줌이 많아졌다.- 먹는 양이 늘었네.

    하나라도 해당이 될 경우 적극적으로 검사를 받고 관리를 시작하세요!

     

    본 게시판의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정보를 재구성한 것으로 한국건강관리협회의 공식의견이 아닙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 우리나라 발생상황 확정진단자 536,495명(7,850명 추가확인)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2월 15일 0시 기준 재원중위 중증환자는 964명, 사망자는 70명이며 누적사망자는 4,456명(치명률 0.83%)이라고 밝혔습니다. 국내에 발생하는 신규 확정자수는 7,828명, 해외 유입 사례는 22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정자는 합계 7,850명, 총 누적 확정자수는 536,495명(해외 유입 16,169명)입니다.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북 전북 경북 경북 경남 제주 검역 국내 7,828 3,157 343 1774 59 262,296 1160

    댓글

Designed by Tistory.